[Dr. COM의 시리얼 통신의 모든 것]
종단 저항을 사용하는 이유
전송로의 임피던스와 수신기의 임피던스가 달라서 임피던스 부정합(Mis-match)가 발생합니다.
그래서 신호 반사가 발생하여 신호가 변질되거나 감쇄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.
임피던스 부정합 (Impedance Mismatch) - 종단저항 미사용
그래서 수신단과 전송로가 접합되는 부분에 종단 저항을 사용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시켜주게 됩니다.
종단 저항 임피던스 정합 (Termination for Impedance Matching)
어떤 경우에 종단 저항을 사용하나요?
'케이블 전파 속도 > 한 비트 폭' 인 경우에 사용합니다.
예제) 통신속도 921.6Kbps , 통신거리 1.2km 인 경우
한 비트폭은 1 / 921,600 = 약 1us
일반적인 전파 속도는 빛의 66% 정도 됩니다. 0.66c = 0.66 * 3 * 103
그래서 전파는 1초에 1.98 * 108 m를 진행합니다.
1.2km의 케이블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6us
위와 같은 경우에는 케이블 전파속도 6us > 한 비트 폭 1us 이므로 종단저항을 사용해야 합니다.
종단 저항은 어디에 설치하나요?
종단 저항은 수신단과 케이블이 만나는 지점에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.
그래서 RS422 경우에는 수신기 맨끝 장비에만 종단 저항을 설치해주고, RS485는 half-duplex 반이중 통신이므로 송수신을 하기 때문에 양쪽 맨끝 장비에 각각 종단 저항을 설치해 주어야 합니다.
RS422 네트워크에서의 종단 저항 (Termination)
RS485 네트워크에서의 종단 저항 (Termination)
써지 프로텍터(Surge Protector), 아이솔레이터(Isolator) (0) | 2024.03.26 |
---|---|
접지 (Grounding, Earth) (0) | 2024.03.25 |
시리얼 장치 설치 시, 고려해야 할 사항들 (0) | 2024.03.21 |
RS422과 RS485의 공통점과 차이점 2 (0) | 2024.03.20 |
RS485 동작모드 (에코모드, 논에코모드) (0) | 2024.03.19 |